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혼모 아기 등 여기 넣어 주세요"…한국서 수용시설 존폐 논란

USC재학 10명 "우리가 돕자" 다큐멘터리 영화 만들기로 12월 한국서 촬영 모금 나서 한국에서 논란을 부른 '베이비 박스(Baby Box)'가 미국 대학생들에 의해 다큐멘터리로 제작된다. 베이비 박스는 영아 의탁 바구니다. 부모가 원치 않는 아기를 두고 갈 수 있다. 한국 최초로 2009년 12월 서울 난곡동 장애아보호시설인 '주사랑 공동체'의 이종락(57) 목사가 설치했다. 버려진 아기들은 대부분 장애아다. LA타임스는 지난 6월20일자에 이 박스를 2개 면에 걸쳐 심층 보도했다. 영문 기사는 전세계의 관심을 끌었다. AP통신 중국 신화통신 필리핀 국영방송 프랑스 독일 호주 일본에서 베이비 박스를 앞다퉈 취재했다. 하지만 당초 의도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논쟁을 불렀다. 일부 시민단체가 "영아 유기를 조장한다"고 했고 보건복지부도 폐쇄 지침을 내렸다. 한국 정부는 없애려고 하지만 미국의 대학생들은 생각이 달랐다. 살리겠다고 나섰다. USC 영화텔레비젼학과(Cinema Television) 3학년생인 브라이언 아이비((Brian Ivie.21)를 비롯한 10명의 대학생이 다큐멘터리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2명은 한인 학생이다. 조광호(20)군과 사라 최(20)양이다. "타임스 기사를 보고 불쌍한 아기들이 버려지는데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뭘까 생각했어요. 제 전공이 영화잖아요. 영상을 만들어 돕자고 결심했죠." 20대 초반의 앳된 학생들이지만 프로젝트는 짜임새 있다. 각자 전공을 살려 일하고 있다. 브라이언과 프로젝트 양축을 이룬 경영회계학과의 조광호(20)군은 살림살이를 맡았다. 취재는 저널리즘을 전공하는 윌 토버(21)가, 배경음악은 상업음악 전공인 브라이스 코메(21)가 담당하는 식이다. 다큐멘터리는 25분 분량으로 계획중이다. 내용은 한국의 베이비 박스를 투사해 전세계에서 버려지는 아이들의 슬픔을 다룬다. ‘사지 없는 희망 전도사’로 알려진 닉 부이치치도 특별 출연으로 돕는다. 이들은 1주일 예정의 현지 촬영을 위해 12월15일 한국행 비행기에 오른다. 문제는 제작비다. 영화제작용 ‘레드 에픽(RED Epic)’ 카메라 1주 대여비가 4만달러다. 인맥과 가족들을 모두 동원해 총 제작비를 4만달러로 줄였다.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를 활용해 현재까지 1만달러를 모금했다. “한국에서 일정은 힘들어요. 하루에 8개 도시를 다녀야하고, 밤에는 스탭 친척 집에서 스탭들이 겹쳐 자야해요.” 가장 어려운 점은 일정이 아니다.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카메라에 담을 수 있을까’하는 고민이다. “옳고 그름의 정죄는 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있는 사실 그대로 찍어서 판단은 관객에게 맡기려고 합니다.” 이들은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선댄스, 부산국제영화제 등에 출품할 예정이다. 세계에 베이비 박스를 알리기 위해서다. 또, DVD로 제작해 얻어지는 수익금을 베이비 박스 운영기금으로 전달한다. 한번도 본 적없는 낯선 나라의 아이들을 위할 수 있는 동기가 궁금했다. “죄책감을 느꼈습니다. 저는 감사하게도 건강한 몸으로 태어나, 좋은 부모님 밑에서 자라 일류 학교를 다니고 있죠. 학생이라 가진 것은 없지만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무시할 수 없지 않나요?” 무시할 수 있다. 눈만 감으면 된다. ▷도움 주실분들:(858)525-3624 조광호/이메일:samjo@usc.edu 정구현 기자

2011-10-18

'베이비 박스'는 울고 있다

'왜 하필 나같은 엄마를 만나서….' 핏기도 채 가시지 않은 꼬물거리는 생명을 버린 엄마는 그렇게 변명했다. '너가 미워서 이러는 게 아니다'는 쪽지를 남긴 엄마도 있다. 배냇저고리만 입힌 아기를 놓고간 아빠는 '죽을 죄를 졌다'고 썼다. 밤새 피워댄 담배 냄새로 아기 이불은 찌들어 있었다. 핏줄을 버린 이유는 하나같다.'형편이 어려워서'다. 바라는 점도 같다.'잘 키워달라'였다. 부모들은 자기가 버린 자식을 남이 잘 키워주리라 믿고 싶어했다. 베이비 박스에는 아기와 함께 부모의 죄책감도 버려진다. 서울 관악구 난곡동 가파른 언덕에 자리잡은 장애아보호시설 '주사랑 공동체'앞. 새벽 여명이 퍼렇게 남은 외벽 아래 덩그라니 기저귀 가방이 버려져있다. 어디선가 아기가 서럽게 운다. 울음 소리는 벽에 붙은 '베이비 박스' 뒷편에서 들린다. 마치 기저귀 가방처럼 아기도 문을 통해 저편으로 버려졌다. 베이비 박스는 아기용품을 기부하는 곳이 아니다. 아기를 버리는 곳이다. 박스 옆에 쓰인 안내문구가 아기 울음소리를 더 슬프게 한다. '불가피하게 아이를 돌보지 못하거나 키우지 못한 처지에 있는 미혼모 아기와 장애로 태어난 아기를 유기하거나 버리지 말고 여기에 넣어주세요.' 베이비 박스는 지난 2009년 12월 한국 최초로 설치됐다. 이 곳이 유일하다. 주사랑 공동체를 운영하는 이종락(57) 목사가 고안했다. "아무데나 아기를 유기하지 말고 차라리 여기에 두면 맡아 키우겠다"는 의도에서다. 지난 6월 이 목사의 선한 의도는 전세계에 알려졌다. LA타임스가 20일자 1면과 5면에 걸쳐 주사랑공동체의 실정을 보도하면서다. 기사의 취지와 논조는 후원자를 모집하기 위해서였지만 당초 의도와 달리 찬반 논란을 불렀다. 일부 시민운동단체가 "영아 유기를 조장한다"며 반대했다. 정부도 가만히 있지 않았다. 한국의 부끄러운 사회상이 해외로 알려지자 보건복지부는 "부모의 죄책감을 덜어줄 우려가 있는 베이비 박스는 철거되야 한다"는 지침을 내렸다. 하지만 이 목사는 "베이비 박스가 없는 세상이 오길 가장 바라는 사람은 나"라면서도 "길바닥에 버려진 아기들이 가쁜 숨을 몰아쉬는 것을 보고만 있으라는 소리냐"고 반문했다. 사진의 베이비 박스 문 저쪽에서 애타게 엄마를 찾고 있는 아기는 나중에 '생명'이라 이름 붙여진 사내아이다. 생후 2개월도 안된 지난 2월1일 버려졌다. 손발이 꽁꽁 언 채 발견된 생명이는 '뇌 갈림증'을 안고 태어났다. 엄마는 장애아를 키울 형편이 안된다며 "(자신을)찾지 말아달라"는 쪽지를 남겼다. 생명이는 이후 5개월간 11차례 뇌수술을 받았다. 또다시 버려지기 싫다는 듯 생명이는 꿋꿋하게 이겨냈다. 생명이는 이 박스에 5번째 들어온 아기다. 설치한 지 2년이 채 안되는 동안 버려진 '생명'은 스물한명이다. 매달 한명꼴이다. 가로 70㎝ 높이 60㎝ 깊이 45㎝. 작은 공간에서 아기들은 서럽게 생명을 이어갈 수 있었다. 엄마는 불러도 오지 않는다. 정구현 기자 koohyun@koreadaily.com

2011-10-18

영아유기 현장? 이건 '생명박스' 입니다…주사랑 공동체 이종락 목사

"어제 들어온 아기에요. 달래도 계속 우네요. 자기 집이 아닌줄 아는가봐요. 딱해서 참…." 전화를 받은 '주사랑 공동체'의 이종락(57) 목사의 목소리는 잠겨있었다. 한국시간으로 이른 아침이기도 했지만 밤새 울어댄 아기들 때문에 녹초가 됐다. 이 목사와 사모 정병옥(57)씨가 1999년부터 운영하는 장애아보호시설 주사랑 공동체에는 대식구가 산다. 부부는 생후 1개월서부터 18살까지 20명의 남매를 키우고 있다. 아이들은 모두 친부모에게서 버려졌다. 17명이 장애아다. 몸과 마음에 상처입은 가녀린 생명들을 그는 가슴으로 품었다. 8명을 입양했고 추가로 7명의 수속을 밟고 있다. 주은(9)이는 임신 7개월만에 배에서 '꺼내진' 아이다. 엄마는 태중의 주은이가 장애아 판정을 받자마자 제왕절개 수술을 받았다. 그리고 1주일간 아이에게 아무것도 먹이지 않았다. 980g의 작은 몸에 다운증후군과 심장병의 장애까지 안고 태어났지만 주은이는 6개월간의 수술을 잘 견뎌냈다. '우윳빛깔 피부'를 자랑하는 희망(22개월)이도 뇌성마비 1급이다. 정신지체를 앓던 엄마가 자연분만을 시도하다가 희망이 뇌에 산소공급이 중단됐다. 제왕절개로 나왔지만 뇌세포는 이미 죽은 상태였다. 희망이는 눈만 뜨고 감을 수 있다. 우유도 코에 삽입한 튜브로 먹는다. 태어난 지 하루만에 맡겨진 믿음(7)이는 중성이었다. 남자도 여자도 아니었던 믿음이는 수술로 사내아이가 됐다. 좌우뇌 연결부분이 없는 뇌성마비 1급으로 지능은 좀 떨어지긴 해도 밝고 착하다. '애교덩어리' 사랑(8)이는 척추기형에 항문이 없이 태어났다. 생후 2개월에 버려진 사랑이는 수술을 이겨내고 지금은 정상적으로 살고 있다. "그저 '키웠다'고 말하긴 부족해요. 함께 겪은 고비가 얼마나 많은지. 다들 아팠지만 그래도 살아줬으니 얼마나 고마운지 몰라요." 이 목사의 선한 사역은 12년전 시작됐다. 아들 지원(25)씨는 생후 4개월만에 파상풍으로 전신마비가 됐다. 자택 간호를 하기 위해 14년간의 오랜 병원 생활을 정리할 무렵 옆 침대에 입원한 당시 네살이던 상희(16)를 만났다. 상희는 의료사고로 전신마비가 됐다. 상희의 외할머니가 "손녀를 돌봐주면 내가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겠다"면서 이 목사에게 양육을 부탁했다. "그때부터 제가 장애아를 돌본다는 입소문이 났어요. 어느날부터는 집 대문앞에 아이들을 하나둘 놓고 가셨죠. 어떡해요 생명인데." 아이들은 대부분 잘 자라줬지만 이 목사는 5년전 애지중지하던 딸을 가슴에 묻었다. 14살 미혼모가 낳고 병원에 버려진 한나는 무뇌아였다. 뇌가 없어 밥조차 삼킬 수 없었다. 밥 한끼 먹일 때마다 2시간씩 사투를 벌여야 했다. "며칠 살지 못한다"던 한나는 6년간 이 목사 부부의 사랑을 먹고 자랐다. 그러던 한나는 지난 2006년 11월11일 끝내 천국에 갔다. 한나가 죽었을 때 이 목사는 부모님이 돌아가셨을 때보다 더 울었다고 했다. "한나 때문에 아이들에 대한 사명감을 굳혔어요. 제가 돌보는 아이들은 한나가 남긴 보석들이에요." 한나의 짧은 삶은 2009년 12월 '베이비 박스'로 결실을 맺었다. 더 많은 아이들을 품자는 결심이다. 2009년 12월에 설치한 베이비 박스에 처음으로 아기가 버려진 것은 2010년 3월 어느날 낮 2시45분이었다. 마음의 준비는 했지만 주사랑공동체 식구들은 처음 겪는 난감한 상황앞에서 말을 잃었다. "모두 한참을 울었습니다. 낯설고 비극적인 상황에 익숙해지기 어려웠죠. 아기도 울고 저희도 울고 마음이 착잡했습니다." 베이비 박스는 아기가 놓여지면 '딩동'하고 울린다. 그 차임벨 소리는 설치된 후부터 밤낮없이 울었다. 새벽에도 대낮에도 한밤중에도 아기들은 버려졌다. 태어난 지 11시간만에 탯줄도 정리되지 못한 채 들어온 아이도 있었다. 자식을 버리는 부모를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이 목사는 "보통 욕을 하지만 겉만 보고 하는 말"이라고 했다. 자기가 그 입장이 된다면 그렇게 쉽게 욕할 수 없다고 했다. 베이비 박스에 아이를 버리는 부모중 80%가 미혼모라고 했다. 중학교 3학년생도 있었다. "미혼모들은 매달 정부보조금으로 고작 15만원을 받아요. 기저귀 값도 안되는데 어떻게 키워요. 또 어디서 일해 돈을 법니까. 처음에는 이해할 수 없었지만 이젠 오죽했으면 버릴까 싶어요. 아무데나 버리지 않고 여기 데려오는 것만으로도 감사할 일이에요." 새로운 자식들을 이 목사 부부는 지성으로 돌보고 있다. 쉬운 일이 아니다. 밤새 3시간 마다 우유를 먹여야 하는 젖먹이가 9명이다. 우유도 매일 800g 대용량 3통이 바닥난다. 기저귀도 매일 50리터짜리 대형봉지 하나 가득 채워진다. 스물다섯식구 월생활비는 1300만원(1만1000달러)에 달한다. 지난 6월 LA타임스 보도로 후원자들이 많아지긴 했지만 반대로 보건복지부로부터 철거명령을 받은 상태다. 일반 가정집을 개조한 현재 내부 시설을 좀 더 보완하지 않으면 아이들 10명을 다른 시설로 보내야 한다. 당장 1000만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저는 누구보다 베이비 박스가 없는 세상이 오길 바라는 사람입니다. 그런데 가끔 아이들의 환청이 들려요. 죽어가는 소리를 듣는데 어떻게 가만히 있을 수 있나요. 법의 사각지대가 있다면 고쳐주세요. 그리고 우리 아이들 도와주세요." 정부기관은 베이비 박스를 '영아 유기의 현장'이라고 했지만 이 목사는 '생명의 박스'라고 했다. ▶도움 주실 분:(02)854-4505/(016)346-4503/홈페이지 http://cafe.daum.net/giveoutlove 정구현 기자

2011-10-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